안녕하십니까? 머니노하우입니다.
📌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
매년 7월이면 어김없이 날아오는 재산세 고지서.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(주택·건물·토지 등)을 보유한 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로, 매년 7월과 9월 두 차례로 나누어 부과됩니다.
하지만 요즘은 단순히 세금만 내는 것이 아닙니다. 신용카드를 이용하면 다양한 무이자 할부, 포인트 사용, 캐시백 혜택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카드사 혜택을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💳 2025 재산세 납부 가능한 카드사
2025년 기준으로 지방세 납부 시 혜택을 제공하는 주요 카드사는 아래와 같습니다.
- 신한카드
- 국민카드
- 삼성카드
- 현대카드
- 롯데카드
- 하나카드
- 우리카드
- BC카드 (페이북 포함)
- NH농협카드
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개월 수,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, 캐시백 제공 조건이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 후 이용해야 합니다.
📝 카드사별 대표 혜택 (2025년 7월 기준)
카드사 | 무이자 할부 | 포인트 납부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신한카드 | 2~3개월 | O | ARS 신청 시 6개월 가능 |
국민카드 | 2~6개월 | O | 홈페이지 또는 앱 전용 |
삼성카드 | 2~3개월 | X | 이벤트별 추가 혜택 존재 |
현대카드 | 2~4개월 | O | 포인트 100% 사용 가능 |
롯데카드 | 2~3개월 | X | 무이자 신청 필요 |
하나카드 | 2~6개월 | O | 1만 원 캐시백 이벤트 중 |
위 혜택은 카드사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, 세금 납부 전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💡 카드 포인트로 세금 납부 가능?
일부 카드사는 보유 중인 포인트로 재산세 납부가 가능합니다. 대표적으로 국민카드, 신한카드, 현대카드, 하나카드는 카드 포인트를 1원 단위로 사용해 지방세 납부가 가능합니다.
단, 포인트 납부는 각 카드사 전용 앱이나 ARS, 또는 지방세납부시스템(위택스)와 연동된 지방세입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.
📱 납부 방법은?
재산세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.
- 위택스(www.wetax.go.kr) 접속 → 지방세 납부
- 지방세입계좌(전자납부번호) 이용
- 각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→ 지방세 납부 선택
- 은행 CD/ATM기 또는 모바일 뱅킹
특히 위택스와 카드사 앱을 통한 납부는 24시간 가능하며, 무이자 및 포인트 사용이 편리합니다.
📌 주의사항
- 무이자 할부는 반드시 카드사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 후 이용
-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는 카드사 고객센터 확인 필수
- 일부 카드사는 세금 납부 시 실적 제외 항목에 해당될 수 있음
- 납부 마감일 전후는 접속 지연 가능성이 높으니 여유 있게 납부할 것
🎯 마무리 – 혜택 챙기면서 세금 내는 법
매년 반복되는 세금 납부, 하지만 아무 카드로나 결제하면 손해입니다. 2025년 기준으로도 카드사들은 무이자 혜택, 포인트 납부, 일부는 캐시백까지 제공하고 있으니 내게 맞는 카드를 찾아 잘 활용하면 수십만 원 절세 + 혜택 누리기가 가능합니다.
세금 납부도 이제는 전략적으로! 올해 재산세는 똑똑하게 혜택까지 함께 챙겨보시기 바랍니다.